프로그래머스 (programmers) 코딩테스트 고득점 Kit 스택/큐 #1
- 기능개발
1. 문제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2. 제한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3. 입출력 예
progresses | speed | return |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4.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5. 풀어보기
import math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w_days = []
for i,pg in enumerate(progresses):
w_days.append(math.ceil((100 - pg)/speeds[i]))
tmp = w_days[0]
index = 0
for w in w_days:
if w <= tmp:
index+=1
else:
answer.append(index)
index = 1
tmp = w
answer.append(index)
return answer
작업 일수를 배열에 담아서 for loop로 배열을 돌면서 작업일수를 비교한다.
이후 작업일수가 이전 작업일수보다 작을 때 index값을 추가하고 그렇지 않으면 answer 배열에 index를 추가한 후 index를 초기화하고 비교할 작업 일수를 재할당한다.
마지막 index값 추가를 위해 반복문 밖에서 index를 한번 더 append 해준다.
6.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Q=[]
for p, s in zip(progresses, speeds):
if len(Q)==0 or Q[-1][0]<-((p-100)//s):
Q.append([-((p-100)//s),1])
else:
Q[-1][1]+=1
return [q[1] for q in Q]
-((p-100)//s) 이 부분은 필요한 작업일수를 구하는 계산식이다. (math.ceil()한 것과 동일)
Q[i][0] 부분은 작업이 끝나기까지 필요한 일수이며, Q[i][1] 부분은 Q[i][0]일째에 배포 가능한 기능 수라고 보면 된다.
앞 작업이 끝나기까지 필요한 날짜와 비교해서 뒷 작업이 작으면 이미 앞작업에서 구했던 Q의 기능 수 부분에 +1 해주고 크면 list Q에 [필요한 일수, 기능수 = 1]의 형태로 새로 추가한다.
원소 개수 만큼 반복이 끝나면 배포 가능한 기능 수 부분만 잘라서 리턴한다.
느낀점
솔직히 다른 사람이 푼 풀이 아직 완전히 이해는 못했다...
그래도 확실히 내가 푼 풀이보다 깔끔하다는 느낌을 받아서 조금 더 분석해보려고 한다.
zip함수를 이용할 생각을 왜 못했지..😂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개발 Note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K번째 수 (Python) (0) | 2022.04.07 |
---|---|
[알고리즘] 더 맵게 (Python) (0) | 2022.04.05 |
[알고리즘] 완주하지 못한 선수 (Python) (0) | 2022.04.03 |